Dev_bob

[알고리즘 문제] BOJ 1388: 바닥장식 본문

알고리즘/알고리즘 문제

[알고리즘 문제] BOJ 1388: 바닥장식

킹대왕너구리 2024. 5. 11. 17:04

오늘 풀어본 문제는 백준 1388번 바닥장식 문제입니다.

DFS 개념을 적용하여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.

 

https://devbob.tistory.com/2

 

[알고리즘] DFS

오늘 배워볼 주제는 DFS입니다.DFS란 무엇인가요? DFS(깊이 우선 탐색, Depth-First Search)-> 그래프에서 노드를 탐색하는 알고리즘 중 하나-> 가능한 깊게 노드를 탐색,가능한 깊게 노드를 방문하고 더

devbob.tistory.com

 

문제링크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388

 

문제

형택이는 건축가이다. 지금 막 형택이는 형택이의 남자 친구 기훈이의 집을 막 완성시켰다. 형택이는 기훈이 방의 바닥 장식을 디자인했고, 이제 몇 개의 나무 판자가 필요한지 궁금해졌다. 나무 판자는 크기 1의 너비를 가졌고, 양수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. 기훈이 방은 직사각형 모양이고, 방 안에는 벽과 평행한 모양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.

이제 ‘-’와 ‘|’로 이루어진 바닥 장식 모양이 주어진다. 만약 두 개의 ‘-’가 인접해 있고, 같은 행에 있다면, 두 개는 같은 나무 판자이고, 두 개의 ‘|’가 인접해 있고, 같은 열에 있다면, 두 개는 같은 나무 판자이다.

기훈이의 방 바닥을 장식하는데 필요한 나무 판자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 

입력

첫째 줄에 방 바닥의 세로 크기N과 가로 크기 M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M개의 문자가 주어진다. 이것은 바닥 장식 모양이고, '-‘와 ’|‘로만 이루어져 있다. N과 M은 50 이하인 자연수이다.

 

출력

첫째 줄에 문제의 정답을 출력한다.

 

문제 이해 및 정리

 

(문제 이해)

1. N,M값이 주어진다.

2. N*M 행렬을 만들어야 한다.

3. 행렬 안에는 ' - ' 값 아니면 ' | '값을 받는다.

4. 나무 판자의 경우 ' - ' 라면 행으로 이어진 것을 하나로, ' | ' 라면 열로 이루어진 것을 하나로 취급한다.

5. 나무 판자의 개수를 출력하자.

 

(문제 해석)

1. 이 문제는 DF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해보인다. 왜냐하면 깊이 탐색으로 판자가 이어져 있는지 확인을 해야한다.

2. DFS로 문제를 푼다면 나무판자의 수= DFS 함수의 호출 횟수 이다. 

3. '-'와 ' | '값에 대한 조건문을 작성해야한다.

4. '-'라면 행의 오른쪽으로 이동, '|' 라면 열의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탐색한다.

 

코드

def dfs(x,y,direction):
    if direction=='-':
        for dy in range(y,M):
            if(matrix[x][dy]=='-'):
                visited[x][dy]=True
            else:
                break
   
    if direction=='|':
        for dx in range(x,N):
            if(matrix[dx][y]=='|'):
                visited[dx][y]=True
            else:
                break        
    

#N,M값 입력받기
N,M=map(int,input().split(' '))
#matrix 배열 생성
matrix=[]
for _ in range(N):
    matrix.append(input())
#방문처리배열
visited=[[False]*M for _ in range(N)]
#count수 (타일의 개수)
count=0


for i in range(N):
    for j in range(M):
        if(not visited[i][j]):
            count+=1
            dfs(i,j,matrix[i][j])

print(count)